국제갤러리에서는 단색화의 거장 하종현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025년 3월 20일부터 5월 11일까지 국제갤러리 K1 전시장과 한옥 전시장에서 진행되며, 대표 시리즈인 <접합(Conjunction)>과 2009년 이후의 연작 <이후 접합(Post-Conjunction)>까지 총 30여 점의 작품이 공개된다.
이는 2015년, 2019년, 2022년에 이은 네 번째 개인전으로, 반세기 동안 유화를 다뤄온 작가가 던지는 ‘회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에 두고, 그의 지속적인 실험과 물질성에 대한 탐색의 현재를 조명한다. 여전히 진화를 멈추지 않는 하종현의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다.
배압법의 진화와 새로운 해석
이번 전시에 출품된 작품들은 크게 <접합>과 <이후 접합> 두 연작으로 나뉜다. 특히 2009년 이후 제작된 작업들은 초기의 <접합>이 단색 중심의 정적인 반복 제스처에 집중했던 것과는 달리, 보다 다양한 색채와 자유로운 표현이 돋보인다. 이는 고정된 스타일을 답습하기보다는 끊임없이 물성의 가능성을 실험하고 시대의 변화에 유연하게 반응하려는 작가의 의지를 보여준다.
하종현의 대표적인 제작 방식인 ‘배압법(背押法)’을 이해하는 것은 <접합> 연작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이다. 배압법은 굵은 올의 마대 자루 뒷면에 물감을 두껍게 올린 뒤, 앞면으로 밀어 넣어 색을 입히는 독특한 방식이다. 이는 일반적인 서양화 방식과 달리 캔버스 뒷면에서 작업함으로써 노동집약적인 특성을 가지며, 작가의 행위와 물질이 시간 속에서 쌓이는 교감의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우연히 발생하는 효과도 이 기법의 중요한 요소다.
배압법은 한국전쟁 이후 화가로 활동을 시작한 작가의 시대적 배경과도 관련이 있다. 전후 당시 구하기 쉬웠던 마대 자루를 활용해, 기존 회화에 대한 고정 관념을 깨고자 한 실험적 시도에서 이 기법이 비롯됐다.
이번 전시는 배압법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접합> 연작뿐 아니라 그 방식과 의미에 새로운 해석을 덧붙인 신작들도 함께 소개한다. 특히 대부분의 작품이 국내 최초로 공개되는 것으로, 하종현이 어떻게 자신의 화법을 오늘날의 미술 문법 속으로 확장시켜 나가는지를 집중적으로 보여준다.
예컨대, <Conjunction 24-52>(2024)는 초기 <접합> 연작을 연상시키면서도 보다 세련된 흰색의 그라데이션과 강한 점성의 물감이 흘러내리는 표현을 통해 색채의 감각과 입체감을 극대화했다. 물감의 질감이 화면을 구획 짓고 감각적으로 다가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화면 구성에서도 변화가 보인다. 기존 <접합> 연작에서는 수직적인 붓질이 주를 이뤘다면, <Conjunction 23-74>(2023)와 <Conjunction 22-90>(2022)에서는 보다 자유롭고 계산된 사선 붓 터치가 돋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작가의 실험이 시대와 호흡하며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풍요의 이미지, ‘만선의 기쁨’
K1 전시장 입구에는 2009년 이후의 <이후 접합> 연작이 전시되어 있다. 작가는 이 작품들을 ‘만선(滿船)의 기쁨’이라고 표현하며, 강렬한 원색의 화면을 통해 기쁨의 정서를 표현하고자 했다. <이후 접합> 연작은 기존 <접합>에서 사용한 배압법을 새로운 방식으로 변형하고 확장한 결과물이다. 회화의 형식뿐 아니라 표현 방식 자체에 대한 재해석이 엿보인다.
이번 작업에서는 마대 자루 대신 나무 합판을 사용한다. 나무를 얇은 직선 조각으로 절단한 뒤, 이를 먹이나 물감으로 채색한 한지, 광목, 마대 천, 캔버스 천 등 다양한 소재로 감싸고, 각 조각을 순차적으로 화면 위에 배치한다. 가장자리에 유화 물감을 짠 후 또 다른 조각을 덧붙여 물감이 사이로 퍼지게 만드는 방식이다.
이후 작가는 퍼져나온 물감 위에 유화로 덧칠하거나 스크래치를 가해 리듬감을 부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존 <접합> 연작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면서, 시대 흐름에 맞춰 회화의 표현 방식을 더욱 확장해 나가고 있다. 작가는 이를 스스로 ‘만선의 기쁨’이라 표현하며 자신의 작업을 정의했다.
📝 리뷰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