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디자인 무대에서 한국적 미학이 새로운 언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젊은 디자이너 듀오, 김윤지와 한어진의 스튜디오 왈자([translate:Walza])가 있습니다. 이들은 한국적 사고와 현대적 감각을 결합한 아트 퍼니처와 오브제, 설치 작업을 통해 ‘가장 한국적인 것’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써 내려가고 있습니다. 작은 오브제 하나에도 공간을 압도하는 에너지를 담는 이들의 작업은 이미 파리 메종&오브제에서 세계 컬렉터들의 시선을 사로잡았습니다.
‘우리만의 것’을 찾기 위한 여정
금속 조소를 전공한 김윤지와 도자 조형을 전공한 한어진. 오랜 친구였던 두 사람은 함께 떠난 유럽 배낭여행에서 작업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깨달음을 얻습니다. “여러 문화권 사람들이 자기 정체성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내는 모습에서 큰 자극을 받았어요. 우리만의 작업을 하자고 했지만, 정작 한국적인 게 빠져 있었던 게 아닌가 깨닫게 됐죠.” 이 경험을 계기로, 이들은 ‘한국적인 새로운 형태를 찾아가자’는 공동의 목표를 세우게 됩니다.
상반된 개념의 충돌과 조화
스튜디오 왈자의 작업은 늘 상반된 개념 사이의 긴장에서 시작됩니다. 비움과 채움, 여백과 밀도, 음과 양처럼 서로 다른 요소가 충돌하고 조화를 이루는 지점을 탐구합니다. 이를 현대적인 조형 언어로 재구성하여, 단순한 오브제조차 공간 전체의 분위기를 바꾸는 힘을 갖게 합니다.
‘이클립스’ 시리즈: 일식과 월식의 순간을 포착한 대표작. 보는 각도에 따라 완전히 비어 보이거나 채워져 보이는 구조를 통해 비움과 채움의 미학을 시각적으로 구현합니다.
‘노리개 #01 시계’: 전통 장신구인 노리개의 술을 현대적 오브제로 확장한 작업. 얇은 실이 모여 만들어내는 고밀도의 힘을 표현합니다.
설치작업 ‘합 MASS’: ‘이클립스’를 공간으로 확장한 듯한 구조물로, 관람자의 시선에 따라 비움과 채움이 변화하며 실체 없는 덩어리의 무게감을 경험하게 합니다.
두 작가의 시너지, 그리고 미래
아이디어를 발산하는 한어진 작가와 그것을 섬세하게 다듬는 김윤지 작가. 이들의 작업 방식은 충돌과 합의의 반복이며, 그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긴장감이 곧 왈자만의 조형 언어가 됩니다. 둘 중 한 사람이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작품을 과감히 접을 정도로 완벽을 추구하는 이들의 시너지는 ‘왈자’라는 하나의 작가를 완성합니다.
앞으로 스튜디오 왈자는 세라믹 라인 론칭과 공간 프로젝트, 패션 브랜드와의 협업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공유하는 것이 곧 한국적인 것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왈자가 만든 한국적임’이라는 새로운 정의가 나왔으면 해요.” 이들의 바람처럼, 스튜디오 왈자는 자신들만의 언어로 한국적 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스튜디오 왈자(Walza)’라는 이름은 무슨 뜻인가요?
A. ‘왈자(曰者)’는 조선 후기 문화·예술계를 이끌었던 집단의 이름에서 따왔으며, 다시 한번 한국 문화예술의 흐름을 이끌어보자는 포부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말하다 왈(曰)’과 ‘스스로 자(自)’를 써서 작가로서, 한국인으로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자’는 의미도 담았습니다.
Q. ‘한국적 미학’을 현대적으로 해석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요?
A. 전통적인 형태나 문양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을 넘어, ‘비움과 채움’, ‘여백의 미’와 같은 한국 고유의 철학과 사고방식을 현대적인 조형 언어와 미감으로 풀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스튜디오 왈자는 이를 통해 시대를 초월하여 공감할 수 있는 아름다움을 추구합니다.
Q. 스튜디오 왈자의 작품은 어디서 볼 수 있나요?
A. 스튜디오 왈자는 서울디자인페스티벌, 홈테이블데코페어 등 국내외 주요 디자인 페어와 갤러리 전시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식 웹사이트(walza.kr)와 인스타그램(@walza.kr)을 통해 최신 작업과 전시 소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리뷰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