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열 회고전: ‘총상’에서 피어난 물방울의 비밀 | 국립현대미술관

jay

김창열 회고전 총상 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상처 물방울 화가 현대미술

영롱하고 투명한 아름다움. 우리가 기억하는 ‘물방울 화가’ 김창열(1929-2021)의 작품입니다. 하지만 그 아름다움 뒤에는 한국전쟁의 참혹한 상처와 이방인으로서의 고독이 숨어있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열리는 이번 대규모 김창열 회고전은 그의 작고 후 처음으로 열리는 전시로,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물방울의 기원과 그의 치열했던 예술 여정을 총체적으로 조명합니다.

김창열 회고전 총상 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상처 물방울 화가 현대미술

물방울의 기원: 상처와 고통의 흔적

“살갗에 난 구멍을 보고 물방울을 그렸다.” 김창열에게 물방울은 단순한 자연 현상이 아니었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수많은 죽음을 목격했던 그에게 물방울은 총알 자국처럼 파인 ‘상흔’이자, 고통을 정화하고 위로하는 ‘눈물’이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되는 뉴욕 시절의 미공개 드로잉 11점은, 구체적인 신체와 상처의 형상이 물방울로 변해가는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며 작품의 이해를 돕습니다.

김창열 회고전 총상 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상처 물방울 화가 현대미술

뉴욕의 좌절, 파리에서의 탄생

1965년, 김환기의 권유로 뉴욕에 갔지만 그의 삶은 녹록지 않았습니다. 풍요로운 도시에서 느낀 소외감과 예술가로서의 좌절감은 “한국전쟁만큼 고통스러운 시간”이었다고 그는 회고합니다. 이 시기 그는 앵포르멜의 거친 표현 대신 기하학적 추상으로 전환점을 맞았고, 1969년 파리에 정착하면서 비로소 우리가 아는 ‘물방울 회화’를 시작하게 됩니다. 허름한 마구간을 개조한 작업실에서 탄생한 최초의 물방울 그림 〈밤에 일어난 일〉(1972)은 그의 50년 물방울 여정의 서막을 알리는 중요한 작품입니다.

김창열 회고전 총상 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상처 물방울 화가 현대미술
〈무제〉, 국립현대미술관

 

놓치지 말아야 할 감상 포인트

  • 미공개 드로잉: 뉴욕 시절, 내장과 상처가 물방울로 변하는 과정을 담은 드로잉 11점을 통해 물방울의 근원을 확인해 보세요.
  • 노란색의 의미: 참혹함 속에서도 생명력을 상징하는 ‘노란색’을 통해 고통을 아름다움으로 승화시킨 작가의 의지를 느껴보세요.
  • 〈천자문〉 연작: 어린 시절 할아버지에게 배운 천자 위에 물방울을 그린 후기 연작으로, 작가의 삶과 예술이 ‘회귀’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번 전시에서 처음 공개됩니다.
  • 아카이브 공간: 파리 시절 작업실을 재현한 공간과 작가의 육성이 담긴 영상을 통해 그의 삶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습니다.
김창열 회고전 총상 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상처 물방울 화가 현대미술
〈밤에 일어난 일〉 국립현대미술관

 

전시는 그의 생애를 따라 ‘상흔’, ‘현상’, ‘물방울’, ‘회귀’ 네 개의 섹션으로 구성됩니다. 전쟁의 트라우마를 예술로 승화시키고, 평생에 걸쳐 하나의 주제를 탐구하며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한 거장의 발자취를 따라가다 보면, 영롱한 물방울 한 방울에 담긴 깊은 울림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김창열 회고전 총상 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상처 물방울 화가 현대미술

자주 묻는 질문 (FAQ)

Q. 전시 기간과 장소는 어디인가요?

A. 2025년 8월 22일부터 12월 21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6, 7, 8 전시실)에서 열립니다.

Q. 김창열 화가는 어떤 사람인가요?

A. 1929년 평안남도에서 태어나 한국전쟁을 겪은 한국 현대 추상미술의 거장입니다. 김환기, 박서보, 이우환 등과 함께 한국 미술을 대표하는 인물로, 50년 넘게 ‘물방울’이라는 단일 주제를 탐구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Q. 전시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팁이 있을까요?

A. 단순히 물방울의 사실적인 묘사에 감탄하기보다, 그 물방울이 작가의 삶에서 어떤 의미(전쟁의 상처, 눈물, 정화, 회귀 등)를 갖는지 생각하며 감상하는 것이 좋습니다. 각 섹션의 설명을 참고하며 작품의 변화 과정을 따라가 보세요.

 

📝 리뷰 작성하기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