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잔의 차에는 계절의 향과 땅의 기운이 담겨 있습니다. ‘이슬의 기운’이라는 뜻을 지닌 로해([translate:Rohae])는 조선 초기 문인 매월당 김시습의 18대 후손인 김동현 대표가 이끄는 브랜드로, 한국 전통차의 맑고 담백한 미학을 현대적으로 잇고 있습니다. 그는 가문의 문화적 자산과 개인의 경험을 토대로, 한국 차의 본질과 예술적 가치를 세계적 시선으로 재해석하는 길을 걷고 있습니다.
뿌리 깊은 전통과 세계적인 감각의 만남
김동현 대표는 김시습의 시집 <매월당집>에 남겨진 70여 수의 차 기록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2019년 미국에서 돌아온 후, 그는 전남과 경남의 차밭과 사찰을 직접 찾아다니며 현장 연구를 이어왔습니다. 미술사를 전공하고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근무한 경험은, 전통을 단순히 보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세계적인 맥락 속에서 한국 차의 미학을 새롭게 번역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김 대표는 “일본과 중국 차는 이미 강력한 콘텐츠로 자리 잡았지만, 한국 차는 정제된 방식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드물었다”며, “한국의 미감을 종합예술인 차를 통해 풀어내고 싶었다”고 말합니다.
초가집에서 영감을 얻은 공간, ‘로해 서울’
지난 8월 강남에 문을 연 ‘로해 서울’은 이러한 그의 철학이 담긴 공간입니다. 화려한 궁중 문화가 아닌, 서민들이 살던 ‘초당(초가집)’을 모티프로 하여 소박하고 담백한 한국의 미감을 드러내고자 했습니다.
현판 ‘[translate:和開是序廬](화개시서려)’: ‘조화를 바탕으로 세워진 학자의 초막’이라는 뜻으로, 비움과 담백함을 실천한 조선 차인의 정신을 반영합니다.
공간 구성: 짚을 엮어 만든 듯한 바닥 카펫, 해풍을 견디며 자연의 본질을 드러내는 소나무 기둥, 한국적 미감을 담은 나무 장과 김민재 작가의 의자 등 모든 요소가 한국의 미학을 담고 있습니다.
‘작설차’의 원형을 되살리다
로해 서울에서 선보이는 첫 전시는 조선 선비들의 기록을 토대로 작설차를 오늘날에 되살린 자리입니다. ‘참새 혀’처럼 작고 여린 찻잎을 뜻하는 ‘작설(雀舌)’은 일제강점기 ‘녹차’로 불리기 전 한국 차의 고유 명칭입니다. <매월당집>에 묘사된 방식을 따라 올해 수확한 작설차를 맛보며 그 원형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차와 함께 곁들여지는 다과는 전통 한과가 아닌 초콜릿입니다. 조선 후기 초콜릿이 ‘저고령당’이라는 이름으로 전해졌다는 역사적 사실에서 착안한, 동시대적 언어로 풀어낸 시도입니다. 또한, 다산 정약용 선생이 남긴 차 만드는 법을 재현한 ‘봉단차’와 소반, 도자기가 어우러져 전통차 문화의 풍경을 현대적으로 재현합니다.
김동현 대표는 “한국차는 쓴맛, 시원한 맛, 구수한 맛이 모두 공존하며, 이 다층적인 맛이 바로 한국 차의 특징”이라고 말합니다. 로해는 앞으로도 다양한 한국 차의 원형을 연구하며, 단순히 마시는 맛을 넘어 오래 이어온 기억과 현재의 미감을 잇는 대화의 장을 펼쳐나갈 계획입니다.
ADD: 서울시 강남구 영동대로129길 20 | INSTAGRAM: @rohae.seoul
자주 묻는 질문 (FAQ)
Q. ‘작설차’는 녹차와 다른가요?
A. 작설차는 이른 봄에 딴 아주 어린 찻잎으로 만든 차를 부르는 우리 고유의 이름입니다. ‘녹차’라는 용어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널리 쓰이게 된 일본식 표현으로, 작설차는 한국 녹차의 원형이자 고급 차를 지칭하는 말로 볼 수 있습니다.
Q. 로해 서울에서는 차만 마실 수 있나요?
A. 로해 서울은 차를 마시는 공간이자, 한국 전통차 문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전시와 경험을 제공하는 복합 문화 공간입니다. 현재는 ‘작설차’를 주제로 한 전시가 진행 중이며, 차와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이 앞으로도 이어질 예정입니다.
Q. 김시습은 어떤 인물인가요?
A. 조선 초기(세종~성종)의 문인이자 학자입니다. ‘매월당’이라는 호를 사용했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 소설인 <금오신화>를 쓴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는 차를 매우 사랑하여 차에 관한 70여 수의 시를 남기는 등 한국 차 문화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습니다.
📝 리뷰 작성하기